8체질 의학은 한국의 한의사 서병익 박사가 창안한 체질 의학 이론으로, 사람을 타고난 장부(臟腑) 기능의 강약에 따라 8가지 체질로 분류하는 개념이다. 오늘은 8체질 의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별로 적합한 음식과 치료법을 제안한다.
8체질의 분류
체질은 크게 양인(陽人)과 음인(陰人)으로 나뉘며, 다시 4가지씩 총 8체질로 세분화된다.
양인 체질 (활동적이고 에너지가 강한 타입)
목양체질(태양인) - 간(肝) 강, 폐(肺) 약
토양체질(태음인) - 비장(脾) 강, 신장(腎) 약
금양체질(소양인) - 폐(肺) 강, 간(肝) 약
수양체질(소음인) - 신장(腎) 강, 비장(脾) 약
음인 체질 (조용하고 내향적인 타입)
목음체질 - 간(肝) 약, 폐(肺) 강
토음체질 - 비장(脾) 약, 신장(腎) 강
금음체질 - 폐(肺) 약, 간(肝) 강
수음체질 - 신장(腎) 약, 비장(脾) 강
8체질과 건강
각 체질에 따라 적합한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이 다르다.
목양체질(태양인) → 돼지고기 ❌, 생선·채소 ⭑
토양체질(태음인) → 밀가루 ❌, 소고기·현미 ⭑
금양체질(소양인) → 닭고기 ❌, 돼지고기 ⭑
수양체질(소음인) → 돼지고기 ❌, 닭고기 ⭑
체질에 맞는 음식과 생활습관을 지키면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다.
8체질 진단 방법
정확한 체질 분석을 위해서는 한의원에서 맥진(脈診)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다.
체질에 따라 운동, 치료법, 식습관까지 맞춤형으로 관리하면 건강을 더욱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8체질 의학은 개개인의 체질을 고려한 맞춤 건강 관리법이다. 본인의 체질을 정확히 알고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 방식을 유지하면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